웹프로그래밍 무작정따라하기

[Spring] 프레임워크 Basic- annotation @어노테이션

RIMD 2020. 10. 23. 12:00

:-)

Spring Framework - [ xml 설정 / Annotation 기반 설정 방법 ]

 

 

@어노테이션이란?

: Spring 2.5 부터 지원되는 빈 설정 방법으로 자바의 어노테이션(annotation)

: 자바코드에 설정된 어노테이션을 활성화 시키기 위하여 최소한의 XML 설정 정보 설정은 필요

<context:annotation-config/>

 

 

어노테이션 정리

: 의존성 주입 용도

 

@Autowired

- org.springframework.beans.factory.annotation.Autowired

- 속성 또는 생성자, setter 메소드에 설정, 필수 속성

  ( required=false 로 필수 속성 해제가능)

- autowire=“byType” 과 동일한 기능

- 배열, 컬렉션 모두 설정 가능

 

 

 

 

 

 

@AutoWired CoC자동주입

: 여러 개의 객체 생성시 autowired 변수명과 동일한 객체 주입

: @Autowired가 설정 되어있지않으면 Cat 객체 두개 중 어떤 객체를 선택할지 몰라 오류 발생

 

▼결과값

 

 

 

@Required

- org.springframework.beans.factory.annotation.Required

- setter 메소드에 설정

- 필수 속성이 되게 함

- @Autowired와의 차이점

  @Autowired = 멤버변수 위에 어노테이션

 

    -> @Autowired(required = false)로 설정하면

         bean에서 필수 속성이 아니기때문에 설정하지 않아도 오류가 발생하지 않음

 

  @Required = set함수 위에 어노테이션

     -> bean에서 필수 속성이기때문에 설정하지 않으면 오류가 발생

 

 

 

 

@Resource(name="선택 bean의 id명")

: 여러 개의 객체 중 해당 id 객체 주입

 (@Resource : 여러 개의 객체 중 해당 id 가 변수명과 같은 객체 주입)

 

 

 

@Value("초기값")

- @Value(“문자열”) :초기값의 설정

- @Value(“${설정변수}”) : 파일에서 key/value데이터를 가져옴

 

 

▼결과값